전염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중증화 위험이 큰 고위험군 소아·청소년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예방접종 참여를 당부드립니다.
◆ 고위험군 소아·청소년 중증화 위험
최근 소아·청소년에서의 코로나19 발생률이 20대와 30대를 제외하고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, 중증 및 사망의 대부분이 접종하지 않은 고위험군 소아·청소년입니다.
· 사망자* 중 기저질환자 비율
- 기저질환 있음 52.3%
- 기저질환 없음 47.7%
* 18세 이하 소아·청소년 사망자(44명)
· 사망자** 중 미접종자 비율
- 미접종자 81.8%
- 접종자 18.2%
** 접종 대상자인 5~18세 사망자(22명)
◆ 기저질환자의 위험성(국외 연구 사레)
미국 연구결과, 기저질환이 있는 소아가 기저질환이 없는 소아에 비해 1.23~4.6배까지 입원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* (분석 기간/대상) ’20.3월~’21.1월 18세 이하 코로나19에 감염된 소아(43,465명)에서 기저질환과 만성질환 복합도에 따른 중증 코로나19 감염증 위험비 추정
· 기저질환이 있는 소아의 입원 위험비
- 1형 당뇨 4.60배
- 비만 3.07배
- 심혈관계 선천성 장애 2.12배
- 천식 1.23배
입원한 소아 중에서는 기저질환에 따라 최대 2.38배까지 중증 코로나19 감염증 발생 위험이 증가했습니다.
* (분석 기간/대상) ’20.3월~’21.1월 18세 이하 코로나19에 감염된 소아(43,465명)에서 기저질환과 만성질환 복합도에 따른 중증 코로나19 감염증 위험비 추정
· 중증 코로나19 감염증 발생 위험비
- 1형 당뇨 : 2.38배
- 비만 : 1.42배
- 심혈관계 선천성 장애 : 1.72배
- 뇌전증·경련 : 1.71배
◆ 소아·청소년 접종의 효과
해외 임상시험 연구결과 소아용 백신을 접종한 5~11세의 감염예방 효과는 91%(백신 제조사 제출 임상자료), 입원 예방 효과는 74%로 확인되었습니다.
(질병 발병 사망률 주간 보고서 자료, 미국 CDC, ’22. 3. 1.).
오미크론 변이 유행 기간 동안 16~17세 연령층에서 3차 접종까지 마친 경우, 2차 접종자에 비해 응급실 및 긴급치료 예방효과가 47%(34%→81%)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(질병 발병 사망률 주간 보고서 자료, 미국 CDC, ’22. 3. 1.)
◆ 소아·청소년 접종 이상반응
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5~11세, 12~17세에서 이상반응 신고율은 각각 0.79건, 2.97건으로
전체 연령의 3.71건 대비 낮았습니다.
또한 이상반응 의심사례는 15,998건, 이 중 15,525(97.0%)가 일반 이상반응이었습니다.
* 국내 5~17세 연령의 차수별 이상반응 신고현황('22. 8. 14. 기준)
· 일반 이상반응 : 두통, 흉통, 근육통, 어지러움 등
· 주요 이상반응 : 아나필락시스, 급성 심혈관계 손상, 경련, 급성마비 등
◆ 고위험군의 범위
· 5~17세 중 접종이 적극 권고되는 고위험군의 범위
- 만성 폐질환, 만성 심장질환, 만성 간질환, 만성 신장질환, 신경-근육질환
- 당뇨, 비만, 면역저하자(면역억제제 복용자)
-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, 요양, 수용 중인 소아
- 상기 기준에 준하는 고위험군으로서 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 소견에 따라 접종 권고
◆ 소아·청소년 접종 방법
고위험군 소아·청소년은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 진행 위험이 높아 감염력이 있다 하더라도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.
① 당일 접종 : 카카오톡, 네이버 잔여 백신 예약* 또는 의료기관 예비명단(유선 확인) 등록
* SNS를 통한 잔여 백신 예약은 14세 이상으로 제한
② 사전 예약 : 온라인(본인 및 대리 예약), 전화예약(1339, 지자체 콜센터)
③ 자체 접종 : 입원 중인 소아·청소년의 경우 입원 중인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
고위험군 소아·청소년의 중증·사망 예방을 위해 예방접종에 적극 동참해 주세요.
5~11세 기초접종과 12~17세 3차 접종은 고위험군의 중증 사망 예방을 목적으로 합니다.
예방접종으로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 소아·청소년을 보호해 주세요.
▲출처: 대한민국 정책브리핑(www.korea.kr) & 질병관리청
'issue and goss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숙취운전도 음주운전입니다! (0) | 2022.09.05 |
---|---|
장마·태풍과 함께 찾아오는 풍수해 감염병을 아시나요? (0) | 2022.09.05 |
원숭이두창 두번째 확진자 나왔다.. 원숭이두창 원인 증상 감염경로는? (0) | 2022.09.05 |
9월에 달라지는 정책, 정책달력으로 확인하세요! (0) | 2022.09.05 |
제11호 태풍 '힌남노' 이렇게 대비해주세요! (0) | 2022.09.05 |
댓글